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제니의뉴욕생활과꿈

자존감 높은 사람이 되기 위해 절대 하지 않는 7가지 본문

내가 성장하는 이야기/도전하는 삶

자존감 높은 사람이 되기 위해 절대 하지 않는 7가지

JennyOh 2022. 5. 28. 21:57
반응형

 

자존감이란?

나를 나 스스로 존중하고 인정하는 마음. (내가 생각한 뜻)

 

자아존중감 (자존감) / Self-esteem 

 

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이고 어떤 성과를 이뤄낼 만한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는 마음. 

자아존중감이 있는 사람은 정치성을 제대로 확립할 수 있고, 정체성이 제대로 확립된 사람은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다. 

자아 존중감은  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이고, 자신을 객관화하는 것부터 시작이다. 

짧게 자존감이라고 일컫고, 미국의 의사이자 철학자인 윌리엄 제임스가 1890년대에 처음 사용하였다. 

 

 

아이 학교 가는 길엔 이렇게 예쁜 꽃들이  즐비하다. ☺️ 감사해요. 아름다움을 바라보게 해줘서

 

이 자존감을 높은 사람이 되려면 하지 않아야 할 7가지. 

 

1. 자기 비하 하지 않기 

 

2. 남의 시선과 평가에 민감하지 않기 

 

3. 어설프게 착하지 않기 

 

4. 나의 감정 표현하는 것을 꺼리지 않기 

 

5. 내가 좋아하는 것을 즐기기 않는 것 

 

6. 남의 기대감을 맞추려고 희생을 하는 것

 

7. 완벽주의 적인 성향 버리기 

 

 

 

이 내용은 "차희연 교수 심리 TV"에서 본 내용이다. 

저 7가지를 평가하는데 아기 낳기 전과 후가 확 갈린다.

 

아기 낳기 전엔 정말 자신감이 충만했다. 우선 나는 내 자신을 사랑했다.

나는 뭘 해도 될 사람이라는 생각이 많았고 남의 시선과 말에도 잘 흔들리지 않았다. 

내가 하고자 하는 것을 즐기는 것도 좋아했고, 자기 비하도 하지 않고 지냈던 것 같다. 

 

그런데, 

 

정말 아이 낳고 7가지 모두 갖게 된 것 같다. 

정말 어설프게 착해서 내 의견을 내지도 않고,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거라고 착각도 했었다. 

지난 과거 일들 다시 꺼내 자기 비하도 하고 내가 좋아하는 것은 다 포기하고 먹고 싶은 것도 포기하고 

아이들만 키웠었다. 

 

출산 후 우울증은 내 의지와 상관없이 자연스레 오는 거라고 한다. 

첫째 낳고 나서는 그래도 나름 나의 선택(아이를 내가 내 손으로 키운다)을

생각하면서 그래도 잘하고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. 

 

둘째부터는 더 우울해지고 자존감이 땅을 파고 지하로 내려가는 느낌이었다. 

내 의견 전달도 내 감정 표현도 못하고, 남들의 한마디가 비수가 되어 꽂히고 서운해 하기를 반복했던 것 같다. 

 

 

예전처럼 다시 살아 날 나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-

 

정말 바닥을 칠 때로 치고 나서 점점 

 

'나 이런 사람 아니었어... 예전처럼 자신감 있고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고 싶어'

 

라는 욕망의 작은 불꽃이 피어올랐던 것 같다.

아주 작지만 어두웠던 나의 내면에 충분히 따듯한 빛을 주는 그런 작은 불꽃 말이다. 

 

그렇게 생각하고, 작은 것부터 실천하면서 생활 한지 9개월째이다. 

 

지금은 저 7가지 중 더 노력해야 하는 부분은 

남의 기대감에 희생을 하는 것과 완벽주의 성향 버리기이다.

 

7가지 모두 노력은 하고 있지만 많이 개선된 것은

나의 비하와 나의 감정 표현하기 그리고, 내가 좋아하는 일 즐기기이다. 

 

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첫 단추를 잘 꾀어 내 인생을 소중이 빚어 갈 것이다. 

반응형

'내가 성장하는 이야기 > 도전하는 삶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4년 마라톤 도전  (2) 2022.10.23
Comments